건강정보/근골격계

휜다리 반장슬 교정, 반장슬(백니) 교정 반장슬 운동 알아보기

3분만에 읽는 금융 알쓸정보 2020. 10. 25. 21:54
반응형

 

 

 

 

 

 



반장슬 백니(Back knee)는 무릎 관절이 반달 모양 처럼 변형된 모습을 말한다.

반장슬 변형은 
평소 무릎 통증, 고관절 통증, 발목 통증을 유발하기 때문에  무릎 관절 변형을 잘 체크해보아야 한다.

 

 

 

슬관절의 가동범위가 정상 범위에서 벗어나 지나치게 젖혀진 형태로

 무릎 관절이 과도하게 신전이 되면 반장슬이라는 병명으로 진단을 내린다.

반장슬은 무릎이 뒤로 빠진 자세가 되며 종아리 근육을 상당히 긴장시켜 발바닥 족저근막에 스트레스를 주게 된다.

 

 

특히 반장슬은 보행 시 무릎이 뒤로 빠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평상 시에도 주의가 필요하다.

보행으로 무릎 관절 구조물 인대나 근육에 손상을 입을 수 있어 무릎이 뒤로 빠지지 않도록 뒤꿈치부터 걷도록 노력한다.

이런 경우에는 무릎의 힘을 살짝 빼고 서는 것이 좋다.

 

 

 

 

 

 


반장슬, 백니는 무릎 관절과 발목 관절에 정말 좋지 않다.

보기만 해도 그래 보이죠? 

 

 

 

반응형

 

 


 

 




반장슬  3가지 원인


 

 



슬관절의 과도한 신전으로 불안전한 무릎 관절로 평소 어정쩡한 걸음걸이를 보이며

보행 장애를 겪는데

외관상 보기 좋지도 않을 뿐더러 체중 부하 압박으로 주변 관절 조직에 손상을 가하게 되어 

통증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반장슬은 무릎 관절 퇴화를 유발한다.

 

 

 

 

 

 

 

 

날씨가 따뜻해지면서 겨울보다는 신체가 드러나면서 예쁜 옷들을 입게 되는데

반장슬을 가진 여성들은 치마나 바지를 입기 망설인다.

 

 

 

휜 다리는 신체비율을 안좋게 하고 보행 장애와 체중 부하로 관절 변형에 이어 통증을 불러올 수 있다.

장시간 노출되면 무릎 연골이 손상돼 퇴행성관절염이 빨리 나타난다.

 

 

 

 

반장슬은 골반을 틀어지게 하고 처진 엉덩이를 만든다.

옆에서 봤을 때 정강이에서 허벅지로 이어지는 선이 앞으로 튀어나와 있다면 반장슬을 의심해봐야 한다.

 

 

 

 

W 형태로 앉는 여성이나 어린 친구들이 반장슬이 생길 확률이 높다.

반장슬, 백니 원인은 스웨이 백 체형, 골반의 전방 경사, 인대 및 관절낭 손상 등이 대표적입니다.

 

 

 

 

 

 

- 선천적

 

유전적 원인, 가족 인원 중 휜다리 체형이 있다.

 

 

 

 

 

- 후천적

 

무릎 관절 탈구, 잘못된 습관 또는 자세, 전방 십자인대 파열, 무릎 부상, 발목 관절 부정렬, 부적절한 산후조리

 고관절, 종아리, 발의 변형으로 평소 구부정한 자세나 다리를 꼬는 습관으로 유발한다.

출산 후 벌어진 골반을 내버려둘 경우도 마찬가지다.

 

 

 

 

 

- 골질 환성

-마비성 (구루병, 뇌성 마비, 소아마비,)


 

 

 

 

 

 

 

 

 

 

 

 

 

 






반장슬 측정방법


 

 

 



반장슬 체형은 의외로 주변에 많이 발견된다.
주로 후천적 요인이 반장슬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평소 관심이 필요하다.



자신의 무릎 관절이 반장슬 체형으로 변형이 됐는지 집에서 간단하게 체크할 수 있다.

먼저 거울 앞에 선 후 측면 자세 평가를 실시한다.

바깥쪽 복사뼈에서 무릎과 고관절이 수직선으로 떨어져야 정상 체형으로 간주하지만 

 

 

 

반장슬(Back-knee)은 허벅지가 정강이보다 앞쪽으로 나온 형태를 보일 것입니다.

측면 자세에서 고관절부터 무릎 가쪽 복사뼈까지 세 가지 포인트를 잡아

수직선으로 떨어지지 않고 10도 이상 과신전 되어 있다면 반장슬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단, 15도 이상 넘어간다면 위험 단계로 수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반장슬 개선 방법



반장슬의  치료는 환자의 나이, 변형 정도, 체중에 따라 이뤄진다.

선천적 요인이나 마비성 요인으로 반장슬이 생기는 경우에

내 의지와는 상관없이 발생할 수 있지만
미리 관심을 갖고 근골격계를 케어한다면

반장슬의 후천적 요인은 충분히 예방할 수 있다고 봅니다. 

 

 

휜 다리 증상이 심하지 않은 경우는

스트레칭이나 간단한 강화 운동만으로 교정 효과를 볼 수 있다.

 

 

또는 생활습관을 개선하는 것도 중요하다.

바닥보다는 의자에 앉고, 침대와 좌변기를 사용해 무릎을 완전히 구부리는 동작을 피하는 게 좋다.

 

 

운동한다는 핑계로

무리하게 계단을 이용해 운동하거나 격한 운동, 등산 등 무릎 관절에 부담이 가는 행동을 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운동은 정확한 자세와 자극이 필요하다.

대신 가벼운 산책이나 수영, 자전거 타기, 요가 등을 통해서 관절 주변 근육을 강화하는 게 좋다.

 

 

 

 

 

 

 

 

 

 

 

관절 주변 근육에는 어떤 근육이 있나?

 

 

 

반장슬(백니)은 둔근, 비복근, 대퇴사두근을 아주 중요하게 다룬다.

3가지 근육 강화는 반장슬 교정에 아주 효과적이다.

 

 

 

특히 하이힐을 신게 되는 여성들은 

종아리 근육인 장지 굴근, 가자미근, 비복근이 약화되어

무릎 과신전 각도가 증가하게 됩니다.

하이힐보단 운동화를 신어주는 것이 예방에 도움이 되겠네요

 

 

 

<반장슬 교정에 좋은 운동, 스트레칭>

 


위의 사진은 둔근과 비복근, 대퇴사두근 스트레칭 아주 좋은 포지션이다.

집에서 쉽게 따라할 수 있으니 해주면 좋다.






 

 

 

반응형